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K-패스, 기후동행카드 그리고 알뜰교통카드 K패스 전환 할 수 있나요?(최신)

by 송누리 2024. 6. 26.

K-패스, 기후동행카드 그리고 기존에 사용 중이던 알뜰교통카드까지 많은 교통카드가 출시가 되었습니다.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소비자의 선택권이 넓어졌는데요. 오늘은 이들에 대한 차이와 알뜰교통카드를 K패스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K-패스: 국토교통부 환급 교통카드

K-패스는 국토교통부에서 만든 환급형 교통카드로 기존에 알뜰교통카드에서 업그레이드된 카드이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마다 일정액의 교통비를 환급받을 수 있으며, 이때 대중교통은 시내버스, 지하철, 신분당선, 광역버스, GTX 등이 포함된다. 다만, 시외버스, 고속버스, KTX, SRT, 공항버스 등 별도로 발권을 받아 탑승해야 하는 교통수단은 해당하지 않는다.

 

또한 기존에는 서울에서만 사용이 가능했는데 지금은 경기도와, 인천에까지 확장이 되어서 이를 각각 더 경기패스, 인천 I-패스로 사용되고 있다. 

 

사용방법은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지급이 되며, 일반인의 경우 교통비의 20%를 적립, 만 19세 ~ 34세의 청년은 30% 적립, 마지막으로 저소득층은 53%가 적립을 받아 환급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만 19세 미만의 미성년자는 사용을 못한다.

 

K-패스 신청 바로가기

 

기후동행카드: 서울시 친환경 교통카드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 지역에서 사용가능한 버스와 지하철, 따릉이를 무제한으로 사용 가능한 정기권 형태의 교통카드입니다. 이용범위는 서울지역의 지하철과 김포골드라인, 서울시 면허 시내, 마을버스, 따릉이 등입니다. 또한 신분당선, 서울지역 외 지하철, 광역, 공항버스, 타 지역 면허버스에서는 이용제외가 됩니다. 

 

기후동행카드 가격은 기본이 한달에 62.000원이며, 따릉이를 포함할 경우 65,000원에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모바일 카드와 실물카드에 신용카드, 체크카드 충전기능이 추가되어 이용하는 분들에게 편의성이 대폭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신청 시 티머니앱을 사용하여 신청할 경우 무료로 사용이 가능하고 지하철에 가서 실물을 구매할 경우 추가요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 바랍니다.

 

▶기후동행카드 자세히 알아보기

 

기후동행카드 신청 바로가기

 

K-패스 VS 기후동행카드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의 차이점 중 가장 큰 점은 전자는 전국을 범위로 하고 후자는 서울시에 한정되어 사용이 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서울에 거주하시고 대중교통을 한 달에 10만원 이상 이용하시는 분들은 기후동행카드를 타지역에 거주하시거나 서울에 거주하더라도 한달 교통비가 많지 않으신 분들은 K-패스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알뜰교통카드 K-패스 전환방법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분들이 K-패스로 전환하는 방법 즉, 갈아타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방법은 쉽습니다. 아래의 방법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이전에는 홈페이지에 'K-패스 회원 전환 안내' 팝업이 떴는데 지금은 뜨지 않기 때문에 잘 따라 하셔야 합니다.

  1. K-패스 홈페이지 접속
  2. 회원가입
  3. 알뜰교통카드의 카드번호 입력
  4. 회원가입 완료

알뜰교통카드에서 K패스 전환기간은 2024년 6월 30일까지이기에 전환을 하고자 하는 분들은 빠르게 회원가입을 하고 신청을 하셔야 합니다. 아래의 링크를 통해 바로 하실 수 있으니 늦지 않게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K-패스 전환 바로가기

 

 

 

반응형

댓글